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윈도우에서 여러 원격데스크탑 연결을 편리하게 관리하는 방법
    - TIP 2020. 2. 25. 16:46

    원격으로 접속해서 관리해야 하는 다수의 컴퓨터가 있을 경우에 유용한 방법입니다.
    각각의 컴퓨터에 매번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원격데스크탑에 접속하려면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걸리게 됩니다.
    아래에 소개드리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한번의 셋팅으로 위의 과정을 거치치 않고 여러 컴퓨터에 쉽고 빠르게 접속해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Remote Desktop Connection Manager 2.7은 MS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링크를 통해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운받으신 프로그램을 설치하시면 아래와 같은 메뉴만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래에 설정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최대한 차근차근 설명드리려고 하여서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얼핏 복잡해 보일 수도 있지만 한번만 따라해보시면 몇십대의 원격컴퓨터도 금방 설정해서
    쉽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File > New 를 통해서 새롭게 관리할 설정파일을 만듭니다.

    임의의 폴더에 원하시는 이름으로 설정파일을 생성해서 저장합니다.

    test라는 임의의 최상위그룹이 만들어진 상황에서 관리할 컴퓨터들이 많은 경우엔
    Add group을 이용해서 하위그룹을 추가 할 수도 있습니다.
    하위그룹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엔 Add server를 통해서 바로 원격컴퓨터를 등록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하위그룹을 만드는 순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A group이라는 임의의 하위그룹을 생성하였습니다.

    이제 A group이라는 하위그룹에 Add server를 통해서 원격데스크탑을 추가합니다.

    Server Settings 창에서
    Server Name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데스크탑의 IP을 입력하고,
    Disply name에는 목록에 보여질 이름을 임의로 입력합니다.

    그 다음 Logon Credentials 창에서 접속할 계정의 정보를 입력합니다.
    User name에는 접속할 계정의 이름을 입력하고 
    Password에 해당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여러 데스크탑을 관리하는 계정이 하나로 정해진 경우에는 Profile을 저장해서
    다른 접속할 데스크탑을 설정할 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Remote Desktop Settings 창에서 접속한 데스크탑이 보여지는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항들을 설정하면 기본적으로 아래처럼 리스트가 만들어지고
    접속하고자 하는 원격데스크탑을 선택해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가지 팁을 드리면 Group의 Properties의 로그인 설정 창의 Inherit from parent를 체크하시면
    설정해 놓은 그룹의 설정값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설정 방법을 따라하시다가 원격데스크탑의 IP나 접속할 계정에 대한 정보를 모르실 때는
    회사의 네트웍 관리부서에 문의하세요.

    그리고 윈도우10에서는 Microsoft Store에서 Microsoft Remote Desktop이라는 원격데스크탑연결 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설정은 위의 Remote Desktop Connection Manager의 설정을 보셨다면 충분히 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이 필요한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댓글

Always Traveling